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172) N
      • 회사소식&보도자료 (49)
      • 논문자료&설치사례 (120) N
      • 제품소개 (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공조

    • 국내의 냉동공조기기 및 맹장설비 동향분석 논문자료

      2024.12.09 by 한국공조엔지니어링(주)

    • 빙상경기장의 공조설비 논문자료

      2024.06.19 by 한국공조엔지니어링(주)

    • 고분내부에 설치된 공조시스템의 운전특성 논문자료

      2024.06.10 by 한국공조엔지니어링(주)

    • 공기순환형 구조체 축열 공조시스템 논문자료

      2024.06.05 by 한국공조엔지니어링(주)

    국내의 냉동공조기기 및 맹장설비 동향분석 논문자료

    국내의 냉동공조기기 및 맹장설비 동향분석 Trend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Related Product and Facility in Korea 한국의 냉동공조기술의 역사는 고대 신라시대, 속구암(700년대), 석빙고(17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의 냉동공조 기술은 한국의 근대화와 함께 1960년대에 처음으로 개발되어 도입되었습니다. 오늘날 산업계는 물론 국내 분야에서도 선진국 수준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2003년 냉동공조기기는 6,200만 대, 총 생산액은 7조 7,000억 원에 이른다. 2003년 기준으로 냉장/냉동/냉장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약 700개소로, 냉장보관 능력은 약 200만톤, 업체당 처리능력은 약 3천..

    논문자료&설치사례 2024. 12. 9. 09:30

    빙상경기장의 공조설비 논문자료

    빙상경기장의 공조설비 Ice rink air conditioning equipment 건축, 설비, 생산 등의 공학기술의 진보, 경제력의 성장, 관람 스포츠의 대중화, 생활기반의 여유 등으로 실내체육관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으며 빙상 경기장도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건립이 증가하고 있다. 빙상 경기장은 얼음이 기본조건으로 대부분 천연 또는 인공얼음을 사용하지만 특수한 플라스틱 판을 얼음 대신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빙상경기를 기사조건이나 계절에 관계없이 4계절 운동으로 할 수 있는 실내 빙상경기장의 종류, 구조, 냉각관 재질 및 설계 시 유의사항 등을 기술하고자 한다. [연구 주제] 1. 가설 설정 - 내식성이 강하다. - 대풍량에 적합하다 - 바닥면이 고르고 수평일 것 - 백색관은 자외선에 약하므로 흑색..

    논문자료&설치사례 2024. 6. 19. 10:00

    고분내부에 설치된 공조시스템의 운전특성 논문자료

    고분내부에 설치된 공조시스템의 운전특성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VAC System Installed in Ancient Tomb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 고분의 장기보존을 위하여 고분보존용 공조시스템을 개발할 목적으로 공조시스템을 적용한 고분내부의 실내환경 자료를 확보하고자 공조시스템을 적용한 실물고분을 제작하고, 온, 습도 및 공조기의 실내기에 의한 진동수준을 측정하고 검토하였다. 외기의 상대습도가 그다지 높지않은 4월중의 온, 습도 측정결과 고분 내부의 온, 습도변화는 희망제어조건(온도 22±1∘C와 상대습도 55±3)을 다소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중 실내기에 의한 진동측정 결과 교통 혹은 기계진동에 의한 문화재 및 기타 진동예민구조물에 대한 스위스 규정보..

    논문자료&설치사례 2024. 6. 10. 10:00

    공기순환형 구조체 축열 공조시스템 논문자료

    공기순환형 구조체 축열 공조시스템 Air circulation type structural  heat storage air conditioning system 축열 공조방식 중 현재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는 방식은 빙축열 방식과 수축열 방식이다. 본래 축열식 공조는 열원 용량을 감소하고, 값싼 심야전력을 통해서 운전비용(running cost)의 절감을 목적으로 하지만, 열을 저장하기 위한 축열조가 필요하므로, 필연적으로 초기투자비(intial cost)의 증가를 동반하며, 기존의 건물에는 쉽게 적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축열을 위한 초기비용을 증가시키지 않는 축열식 공조방식으로서 건축물 자체가 가지는 높은 열용량에 착안하여 구조체 축열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성화되고 있다. 구조체 축열..

    논문자료&설치사례 2024. 6. 5. 10: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AI 자동설계
    KACECO COPYRIGHT ©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