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위한
스마트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구조 설계
A Smart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Design for Modular Date Center Intra
클라우드 컴퓨팅 및 빅데이터 환경에서 최근 데이터의 유동량은 폭팔적으로 증가하였다. 그에 따라 대규모 IT자원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핵심 인프라 역할을 맡고있는 데이터센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데이터센터의 빠른 확장 속도에 비하여 데이터센터를 통합적,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의 부재로 데이터센터의 빠른 유지보수, 효율적 자원관리와 고신뢰 시스템 구축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국내 여건상 외국의 사례와 같이 넓은 부지를 사용하여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수가 없기 때문에 모듈 형태의 데이터센터 구축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폭팔적 데이터 환경과 국내 여건을 고려한 효율적인 인프라 지원을 위한 모듈러 데이터센터의 스마트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구조를 설계한다.
[연구 주제]
1. 문제 정의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 인프라 지원을 위해 변화한 데이터센터를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수요에 의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데이터센터에 대비하여 보다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
1. 이론/모형
본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 Pod 통합 관리 시스템은 멀티 코어 임베디드 플랫폼을 사용한다.
[연구 결과]
1. 성능/효과
데이터센터에 요구되는 장비들이 증가하였으며 전력사용량 또한 감당하기 힘들정도가 되었고, 결과적으로 데이터센터의 복잡성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때문에 Pod 단위로 관리객체를 그룹화하여 그룹화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의 과부하를 줄이고 관리체계를 단순화하여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Pod 관리모듈을 통해 빠른 오류 복구와 다이렉트 관리를 통한 시스템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Pod 미들웨어 가상화와 가상 이중화 기법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유지함으로써 데이터센터 장비에 대한 관리 복잡도를 줄이고 복구의 효율성을 높여 무중단 모니터링 시스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었다.
국내 실정에 맞는 모듈식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한 Pod 단위의 데이터센터 모델을 이용하여 관리 형태를 단순화하며 결과적으로 데이터센터의 구축시에 모듈, 상면, 수직 확장, 3D 입체 증설이 가능하다.
2. 후속 연구
더불어, 체계적인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여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정확하고 신속한 복구가 가능한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한다.
이후의 연구로는 설계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구현, 실제 하드웨어를 베이스로 하여 시스템 효율성을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용 데이터센터에 저굥ㅇ 가능한 수준으로 시스템 확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출처 및 바로가기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NPAP12684952
[논문]모듈러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위한 스마트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구조 설계
클라우드 컴퓨팅 및 빅데이터 환경에서 최근 데이터의 유동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그에 따라 대규모 IT자원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핵심 인프라 역할을 맡고 있는 데이터센터의 수요가 급
scienceon.kisti.re.kr
데이터센터의 외기냉수냉방 시스템에 대한 에너지 절감효과 분석 논문자료 (41) | 2024.03.01 |
---|---|
홍성도시농업지원센터 냉난방 설치공사 직결옥내 EHP AHU 설치현장 설치사례 설치 (55) | 2024.02.28 |
가경국민체육센터 건립사업 기계공사 관급자재 환기조화기 공기조화기설치 공조기설치 설치사례 설치현장 (70) | 2024.02.21 |
분산클라우드 환경에서 마이크로 데이터센터간 자료공유 알고리즘 논문 논문자료 (45) | 2024.02.19 |
국립조선왕조실록전시관 리모델링 공기조화기 공사 구매 공조기 제습 전기히터 전극봉식 수장고 설치사례 설치현장 (61)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