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데이터센터를 위한 랙전원 솔루션
Rack Power Solutions for Green Data Centers
기존의 AC 전력전달 기반의 데이터센터를 고효율의 DC 데이터센터로 변경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그 중 랙 준위 DC 전원공급장치는 기존 데이터센터의 전력구조 변화 없이
랙 레벨에서 DC 전원을 서버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기존 AC 데이터센터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기술이다.
본 논문은 ETRI가 개발한 데이터센터의 랙 준위 DC 전원공급장치 특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장치는 부하에 따라 효율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지능적 제어 기법을 사용하며,
랙 준위 N+ 1 전력 이중화로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랙 준위 전력 및 랙 주위 온/습도정보의 실시간 웹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 주제]
1. 문제 정의
본 논문은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랙 마운트형 DC 정류기 제품인 RPSU의 특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현재 서버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저가형 볼륨 서버의 3대 문제점, 즉 전력효율 문제점, 전력 안정성 문제점, 전력 모니터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 전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이다.
[연구 방법]
1. 제안 방법
보다 정확한 열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AC PSU의 열 단면을 Lil, PDB 열단면을 Li2로 나누어서 그 값을 추적하였다.
이후 Bum Test, CPU Bum Test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1. 성능/효과
Li2(b) 보다 전반적으로 온도가 높고 최고 온도는 4도 정도 높으며, 최저온도는 2도 정도 높게 나타났다.
저가형 볼륨서버에서도 power redundant 를 제공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부하에 연동하여 최적의 효율로 시스템이 동작하여 기존 PSU에 비해서 10% 이상의 전력효율이 향상된다.
RPSU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RPSU 관리소프트웨어에 랙의 실시간 전력정보를 전달하며, IDC 관리자는 웹을 통하여 전체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모현황 및 전력제어 랙 주변 온/습도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다.
2. 후속 연구
RPSU 시스템은 볼륨서버의 가장 큰 문제점이 낮은 전력효율, 전력 이중화 부재, 전력 모니터링 불가능의 문제점들을 해결한 제품으로 저전력 데이터센터의 전원공급장치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및 바로가기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0971661713460
[논문]그린 데이터센터를 위한 랙전원 솔루션
기존의 AC 전력전달 기반의 데이터센터를 고효율의 DC 데이터센터로 변경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그 중 랙 준위 DC 전원공급장치는 기존 데이터센터의 전력구조 변화 없이 랙 레벨에
scienceon.kisti.re.kr
데이터센터의 급기온도 변화가 서버 냉각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논문자료 (4) | 2023.12.06 |
---|---|
대전선암초등학교 다목적 강당 관급자재 공기조화기 직결 GHP 옥외 배관포함 미세먼지 공조기 AHU 설치 (2) | 2023.12.04 |
국가 과학데이터센터 구축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논문자료 (2) | 2023.11.27 |
대전외삼중학교 관급자재 공기조화기 AHU 및 순환팬 설치사례 (0) | 2023.11.24 |
고밀도 데이터센터의 열환경제어를 위한 수치해석 논문자료 (2) | 202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