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무용 건축물 공조설비 설계도서 분석 논문자료

설치사례&논문자료

by 한국공조엔지니어링(주) 2024. 11. 11. 10:00

본문

 

사무용 건축물 공조설비 설계도서 분석
Analysis of Office Building HVAC System Drawings

에너지 절약과 저비용 구축 및 운영을 위해서는 장비의 최적화된 용량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HVAC 시스템 설계에는 적절한 설계 데이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52개 사무동을 대상으로 건축자료, 설비용량, 냉난방부하 설계기준을 조사하였다. 각 과제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사무용 건물 유효면적률은 63%이다. 한국의 평균 건물 냉방부하는 140W/m2입니다. 서울과 부산 지역의 평균 난방부하는 120∼130W/m2입니다. 그리고 70∼80W/m2 또한 HVAC 설계 기준도 분석했습니다. 유효건축면적의 인원비율은 0.2인/m2입니다. 사람의 민감열부하와 잠열부하는 60W와 65W, 사무실 건물의 조명 및 장비부하는 25W/m2입니다. 그리고 20W/m2.

[연구 주제]

1. 문제 정의

분석하여 실제 건물에 적용되는 부하계산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공조설비의 최적 용량설계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무소 건물의 설계도서를 대상으로 공조설비 설계자료를 조사했다.

[연구 방법]

1. 제안 방법

조사내용은 크게 건축계획 요소와 공조부하 및 열원장비 관련 사항으로 나누었으며 이러한 조사내용을 기본으로 건축적 요소와 공조부하의 관계, 공조부하 계산의 기준 등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사무용 건축물의 공조부하 측면에서 합리적인 설계 방법을 도출하기 위하여 건축기본사항과 공조 부하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향후의 공조 설비 계획에 기준모델을 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무용 건축물에서 공조가 실시되는 공간은 가장 이용가치가 높은 부분으로서 건축평면에서 공용부분을 제외한 면적을 산출하여 건물 연면적과 공조면적의 관계를 근사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건물에서의 부하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각 건물에서의 공조면적당 냉난방부하를 부하계산서로부터 산출하였다.

공조열원장비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부하계산을 실시하는데 현재 국내에서 설계한 설계도서의 공조부하계산의 기준에 대하여 조사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적정한 기준의 내용을 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대상 건축물에 대하여 공조부하 계산을 위한 실내 부하 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조사 대상 건물 중 16개의 건물에 대하여 창 면적 비를 건물 수량(EA)과 백분율(%)을 조사하였다.

2. 대상 데이터

본 연구를 위한 관련설계도서류 조사는 국내의 대형 설비설계사무소와 TAB 전문업체에서 보유한 관련도면 및 설계계산서의 열람 및 조사를 하였으며 이중 본 연구에 적용 가능한 사무용 건축물 52개소를 선정하였다.

조사대상 건축물의 지역분포는 서울, 경기도 등 수도권 32개소 부산 . 경남등 남부지방 20개소로 되어있으며 대상건축물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경남등 남부지방 20개소로 되어있으며 대상건축물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사무용 건축물의 적정 열원용량 산정을 위한 기본단계로 국내에 설계된 사무용 건축물 52개소에 대하여 공조부하 관련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1. 성능/효과

내부발생부하인 인체발열량, 조명부하, 장비 발열부하의 경우는 재실인원의 경우 0.2인/nf의 빈도가 가장 높으며, 인체발열량의 현열은 60W/인, 잠열은 65W/인의 경우가 빈도가 높았다.

2. 후속 연구

실제 건물에서의 사용상황에 대한 정확한 조사를 통하여 설계자가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여야 한다.

▼출처 및 바로가기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0703534307348

 

[논문]사무용 건축물 공조설비 설계도서 분석

Optimized capacity of equipments are essential for energy saving and low cost construction and operation. So we must use proper design data for HVAC system design. We investigated for architectural data, equipment capacity, cooling and heating load design

scienceon.kisti.re.kr

 

관련글 더보기